퇴직연금 ETF 월배당 투자: 안정적인 노후 자금 확보 전략 공개!
매달 들어오는 월배당, 퇴직 후에도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만들어준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안녕하세요! 요즘 퇴직연금 관리 때문에 고민 많으시죠? 저도 몇 달 전부터 노후 준비에 진지하게 눈을 돌리면서 ETF 월배당에 눈을 뜨게 되었어요. 사실 처음엔 주식처럼 리스크 큰 건 아닌가 걱정도 있었는데, 하나하나 공부하다 보니 이거 은근히 쏠쏠하더라구요. 매달 쌓이는 배당금이 생활비처럼 들어오는 걸 보면서 ‘이거다!’ 싶었죠.
오늘은 제가 직접 시행착오를 겪으며 알게 된 퇴직연금 월배당 ETF 투자 전략을 낱낱이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노후를 좀 더 든든하게, 그리고 여유롭게 만들고 싶은 분들이라면 끝까지 함께 해주세요!(실제 운용중인 종목을 토대로 작성 합니다)
목차
왜 월배당 ETF인가? 장점과 핵심 개념
ETF 자체는 이제 많은 분들이 익숙하시죠? 간단히 말하면 여러 종목을 묶은 ‘꾸러미 주식’ 같은 건데요. 그중에서도 월배당 ETF는 말 그대로 한 달에 한 번, 정기적으로 배당금을 지급해주는 ETF를 말합니다. 퇴직연금과 찰떡궁합이죠.
보통 주식이나 ETF는 분기 배당이 많은데, 월배당은 생활비처럼 매달 현금 흐름이 생겨서 노후 자금으로 쓰기에 최적화돼 있어요. 적은 투자금으로도 수익을 매달 실현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 보면 복리효과까지 누릴 수 있다는 게 큰 매력입니다.
또 하나, 퇴직연금은 IRP나 DC형 계좌로 ETF를 운용할 수 있는데, 이때 세제 혜택까지 받을 수 있어서 실질 수익률이 높아지죠. 특히
월배당 ETF는 자산이 꾸준히 불어나기보다는 매달 일정 현금 흐름을 창출한다
는 점에서 노후 자금 확보 전략으로 딱이에요.
최근 이중과세 논란으로 많은 변화를 겪는과정에서 미미한 수수료로 보며 장기적인 투자 전략으로 월배당을 꾸준히 운여하여 퇴직 후 본주를 매도하여 퇴직연금을 받는것보다는 월배당으로 만들어 파이프 라인을 만들어보자구요.
주요 월배당 ETF 비교 분석
시중에는 정말 다양한 월배당 ETF가 있지만, 인기 있는 몇 가지를 간단히 비교해볼게요. 미국 상장 ETF 위주로 설명드리지만, 국내 ETF도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ETF 이름 | 주요 투자 자산 | 연 배당률 |
---|---|---|
JEPI | S&P500+커버드콜 전략 | 7~9% |
QYLD | 나스닥100+커버드콜 | 10% 내외 |
TLTW | 미국 장기채권 | 8~10% |
이렇게 각 ETF마다 투자 전략이나 자산 구성, 배당률이 다르기 때문에 본인의 리스크 성향과 연금 수령 계획에 맞게 골라야 해요. 수익률만 보지 말고 안정성과 세금까지 고려하셔야 한다는 점, 꼭 기억해주세요!
퇴직연금으로 ETF에 투자하는 방법
많은 분들이 IRP나 DC형 퇴직연금 계좌가 있어도, ETF 투자가 가능한 줄 모르시더라구요. 사실상 대부분의 증권사 IRP에서는 ETF 매수가 가능합니다! 절차도 생각보다 간단해요.
- IRP 계좌를 증권사에서 개설한다 (기존 은행 IRP는 불가할 수도 있음)비대면으로 신청하여 수수료 절약 팁.
- 월배당 ETF 종목 검색 후 매수 (미국 ETF는 환전 필요)
- 분산투자 및 자동 리밸런싱 설정 고려
- 연금 개시 전까지 수익을 재투자해 복리 효과 누리기
특히 수수료가 낮고 ETF 종류가 다양한 증권사를 선택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저 같은 경우는 키움증권과 미래에셋을 함께 써보고 비교했어요.
아래는 제공 한 표는 실제로 배당기일 매월12일 매월26일경 3일전에 진입하여 퇴직연금DC계좌 및 IAS,IRP계좌에서 운용되는 실제 ETF종목 입니다.
주기적 리밸런싱을 준비하여 운영 하며 위험 부담금30%는 "디폴트 옵션"보다는 "채권 혼합형"(100%활용전략)을 적용하여 채권 과 금리를 이용한 채권 가격상승을 지켜보며 채권의 "듀레이션"은 포기하며 (단 하락시 듀레이션은 보장됨)단기 트레이딩에 초점을 두며 운용 하고 있습니다.
매월 15일 배당기준일 ETF 리스트 (15개) _ 2024년 4분기 자료
포지션 코드번호 종목명 순자산(억원) 총보수 실거래비용 예상분배율 12월 분배금(원) 분배율(%)
반도체 빅테크 | 480040 | ACE 미국반도체데일리타겟커버드콜(합성) | 866 | 0.45% | 0.4991% | 15% | 152 | 1.49% |
480020 | ACE 미국빅테크7+데일리타겟커버드콜(합성) | 1711 | 0.45% | 0.4896% | 15% | 186 | 1.50% | |
474220 | TIGER 미국테크TOP10타겟커버드콜 | 4180 | 0.50% | 0.7546% | 10% | 119 | 0.83% | |
493810 | TIGER 미국AI빅테크10타겟데일리커버드콜 | 1048 | 0.25% | 0.525% | 15% | 139 | 1.25% | |
S&P500 | 480030 | ACE 미국500데일리타겟커버드콜(합성) | 1049 | 0.45% | 0.4896% | 15% | 147 | 1.44% |
미국배당 | 489250 | KODEX 미국배당다우존스 | 2579 | ***** | 0.1024% | 3.60% | 421 | 2.81% |
402970 | ACE 미국배당다우존스 | 596 | 0.01% | 0.1206% | 3.60% | 68 | 2.91% | |
432320 |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커버드콜1호 | 622 | 0.39% | 0.3671% | 7.50% | 76 | 0.62% | |
441640 | KODEX 미국배당커버드콜액티브 | 941 | 0.96% | 0.6064% | 12% | 100 | 0.81% | |
494400 | PLUS 미국배당가치커버드콜액티브 | 77 | 0.35% | 0.7131% | 8.00% | 100 | 1.29% | |
490420 | SOL 미국S&P500커버드콜액티브 | 71 | 0.35% | 0.5391% | 8.00% | 100 | 1.31% | |
주채 | 481060 | KODEX 미국종합채권SRI액티브(H) | 5005 | 0.15% | 0.139% | 4.10% | 139 | 1.42% |
작은 글씨 상세 내용:
- KODEX 미국배당다우존스 옆 빨간색 별(*****) 표시는 상세 총보수 비공개를 의미.
- ACE 미국배당다우존스 항목에는 작은 글씨로 'SCHD추적(ACE & SOL과 50대50% 투자권고)'라고 기재됨.
매월 말일 전략 ETF 리스트 (2024년 기준) ETF종목 기준
포지션 코드 종목명 상장일 순자산총액(억원) 총보수(%) 실거래비용(%) 연분배율(예상)
테크/AI | 483280 | KODEX 미국AI테크TOP10타겟커버드콜(10종목 75% / 나스닥위클리 콜옵션매도 25%) | 24년 5월 28일 | 3,574 | 0.39 | 0.5511 | 약15% |
490590 | RISE 미국AI밸류체인데일리고정커버드콜(15종목+나스닥100 데일리콜옵션 10%매도)(기초지수 90% 참여목표, 목표분배율은 제시하지 않음) | 24년 10월 2일 | 156 | 0.25 | 0.3462 | 12%~20% | |
나스닥 | 441680 | TIGER 미국나스닥100커버드콜(합성)(나스닥100/나스닥100커버드콜) | 22년 9월 6일 | 3,759 | 0.37 | 0.519 | 약11.5% |
486290 | TIGER 미국나스닥100타겟데일리커버드콜(나스닥100/데일리콜옵션매도 10%내외) | 24년 6월 25일 | 5,790 | 0.25 | 0.4282 | 약15% | |
491620 | RISE 미국테크100데일리고정커버드콜(20종목/데일리콜옵션매도 10%)(기초지수 90% 참여목표, 목표분배율 제시하지 않음) | 24년 10월 2일 | 165 | 0.25 | 0.3689 | 12%~20% | |
494300 | KODEX 미국나스닥100데일리커버드콜OTM(나스닥100+10% OTM 데일리콜옵션매도)(연간 분배한도 20%까지 제한) | 24년 10월 22일 | 1,453 | 0.25 | 0.3207 | 최대 약20% | |
S&P500 | 482730 | TIGER 미국S&P500타겟데일리커버드콜(S&P500/데일리콜옵션매도 10%내외) | 24년 5월 21일 | 2,518 | 0.25 | 0.477 | 약10% |
494210 | SOL 미국500타겟커버드콜액티브(500종목/초단기옵션매도 월1%분배목표액티브) | 24년 10월 15일 | 96 | 0.35 | 0.4961 | 약12% | |
0O05A0 | KODEX 미국S&P500데일리커버드콜OTM(S&P500+1% OTM 데일리콜옵션매도)(연간 분배한도 최대 15%) | 25년 1월 7일 | 1,019 | 0.25 | - | 약15% | |
미국배당 | 458730 |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K-SCHD) | 23년 6월 20일 | 20,310 | 0.01 | 0.1413 | 3.50% |
446720 | SOL 미국배당다우존스(K-SCHD) | 22년 11월 15일 | 7,918 | 0.01 | 0.1554 | 3.50% | |
452360 | SOL 미국배당다우존스(H)(K-SCHD 환헷지) | 23년 3월 8일 | 2,411 | 0.05 | 0.3542 | 3.50% | |
458760 |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타겟커버드콜2호(SCHD/S&P500 콜옵션매도) | 23년 6월 20일 | 2,994 | 0.39 | 0.6823 | 약10.5% | |
483290 | KODEX 미국배당다우존스타겟커버드콜(SCHD/S&P500 콜옵션매도) | 24년 5월 28일 | 1,212 | 0.39 | 0.685 | 약12% | |
490600 | RISE 미국배당100데일리고정커버드콜(100종목/SPY ATM 데일리콜옵션매도 10%)(기초지수 90% 참여목표, 목표분배율은 제시하지 않음) | 24년 9월 24일 | 500 | 0.25 | 0.3462 | 12%이상 |
본인들의 검색을 바탕으로 포스팅 종목을 확인하여 투자에 참고 를 권유 드립니다.
다른 블로그 포스팅에 미흡한점 및 시간상 포스팅 된 내용에 넣지못한 자료가 많아서 포스팅 내용에 도움이 되고자 연관 자료를 링크 시켜놓습니다.
리스크는 없을까? 안정성 높이는 전략
솔직히 말해서, ‘월배당’이라는 말만 듣고 무조건 안정적일 거라 착각하면 큰일 납니다. 월배당 ETF도 결국 시장에 상장된 금융상품이기 때문에 가격 변동성과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어요. 특히 고배당 ETF일수록 커버드콜 전략 같은 파생상품을 활용해 리스크가 더 클 수도 있죠.
그래서 중요한 건 분산입니다. 한 종목에 몰빵하지 말고
자산군을 분산하고 배당 전략이 다른 ETF들을 섞어서 리스크를 분산
해야 해요. 채권형 ETF와 주식형 ETF를 섞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죠.
위험 요인 | 대응 전략 |
---|---|
가격 하락 | 적립식 분할매수, 장기 보유 |
배당 감소 | 여러 ETF 혼합으로 배당 안정화 |
환율 변동 | 환헤지 ETF 활용, 국내 ETF 병행 |
결국 정답은 없어요. 하지만 내가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의 변동성 안에서 매달 일정 수익을 목표로 한다면, 전략적으로 접근하면 충분히 가능한 게임이라는 거죠.
추천 포트폴리오 구성 예시
제가 실제로 구성해 본 ‘중위험 중수익형’ 월배당 포트폴리오 예시를 공개할게요. 다양한 ETF를 섞어서 구성했으며, 퇴직연금용으로도 무리 없는 비중입니다.
앞으로 "S"(스테그플레이션)사태나 및 혹시 모를 리셉션을 대비하여 미국 서학 개미는 서서히 줄일때로 보여지며 세금 문제까지를 고려하여 아래는 미국 티커 종목들은 참고하여 투자에 트레이딩을 권유 드립니다.
ETF명 | 비중 (%) | 비고 |
---|---|---|
JEPI | 30% | 핵심 배당 수익 |
TLTW | 20% | 채권 안정성 확보 |
QYLD | 20% | 높은 배당률 |
KBSTAR 고배당 | 15% | 국내 ETF 분산 |
현금성 자산 | 15% | 유사시 유동성 확보 |
월배당 ETF 투자 전 꼭 확인할 체크리스트
- 해당 ETF가 퇴직연금 계좌에서 매수 가능한지 확인
- 최근 12개월 배당률과 분배금 내역 검토
- 환전 수수료와 배당소득세 고려
- 배당이 줄어든 시기에도 꾸준히 운용 가능한지 점검
- 시장 상황 변화에 따른 리밸런싱 계획 수립
이 체크리스트만 숙지해도 초보자도 꽤 안정적으로 월배당 ETF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저도 이 기준으로만 필터링해서 운영 중이고, 꽤 만족스러운 수익을 유지 중이에요!
아니요. 모든 ETF가 매수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증권사별로 허용된 상품만 편입 가능하므로, 계좌 개설 전 확인이 필요합니다.
대부분의 월배당 ETF는 매달 분배금을 지급하지만, 금액은 시장 수익과 운용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
국내에도 월배당 ETF가 생겨나고 있지만, 아직 선택의 폭은 제한적입니다. 해외 ETF와 병행하는 게 유리합니다.
해외 ETF의 배당금은 미국 원천징수세(15%)와 국내 배당소득세(14%)가 각각 적용될 수 있습니다.
배당 수익이 목적이라면 장기 보유가 유리하지만, 시장 상황 변화에 따라 리밸런싱은 필수입니다.
퇴직연금 계좌 내에서는 만 55세 이상 연금 개시 신청을 해야만 현금 인출이 가능합니다.
지금까지 퇴직연금 계좌로 월배당 ETF에 투자하는 방법과 전략들을 살펴봤습니다. 사실 저도 이 여정을 처음 시작할 때는 막막했어요. ‘정말 이게 될까?’ 하는 의심도 많았고요. 그런데 한 달, 두 달... 꾸준히 배당금이 들어오는 걸 보면서 생각이 달라졌습니다.
노후의 삶을 위한 안정적인 현금 흐름, 그 가능성을 확인한 거죠. 여러분도 지금 이 글을 읽고 계시다면 이미 그 첫 걸음을 뗀 겁니다. 앞으로도 함께 공부하며, 조금씩 더 단단한 노후 자산을 만들어가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 댓글로 이야기 나눠요. 우리 함께 잘 살아요, 진짜로요.
'퇴직연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직연금 ETF와 연금저축 ETF 비교 (1) | 2025.03.14 |
---|---|
퇴직금 지급 시기와 계산 방법, 일할 계산법 적용 (0) | 2025.03.13 |